국립한글박물관 소식지 2018. 1.

도심 속에서 만나는 세종대왕 이야기 세종대왕박물관과 영휘원·숭의원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해 백성에게 우리만의 글자를 주었고, ‘해시계’, ‘측우기’ 등을 도입해 과학기술을 발전시켰으며, 총통, 신기전 등 화약무기를 대대적으로 개발해 강한 조선을 만들어냈다. 이렇듯 한반도 역사상 가장 뛰어난 성군으로 평가받는 세종대왕의 위업을 기리기 위한 유물을 전시하는 곳이 있다. 한글박물관은 지난 60여년 간 세종대왕의 성덕과 업적을 널리 알리는 데 노력해온 세종대왕기념사업회를 찾았다.

세종대왕의 모든 것 보존하고 알리기 위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고려대학교역(종암) 인근을 흐르는 정릉천을 건너면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자리하고 있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는 지난 1956년 10월 9일 한글날 창립된 문화기관으로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종대왕기념관을 건립해 운영 중에 있다. 그간 《세종대왕전기》, 《세종학연구》, 《삼강행실도》 등 7백여 권에 달하는 관련 서적을 출간했으며, 최근에는 세종학 강좌와 음학회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세종대왕을 알려왔다.

▲ 세종대왕기념사업회의 초입에 위치한 세종대왕기념비

▲ 수위를 측정하던 서울 ‘청계천 수표(보물 제838호)’

세종대왕은 곧 한글을 그 자체를 상징하는 인물이기에 한글 관련 사업에도 공을 들여왔는데, 《조선왕조실록》을 국역해 전자책으로 발간한 것은 물론 한글 글꼴을 개발하고 한글날에는 글짓기 대회, 글꼴 공모전 등을 개최하며 한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자 노력해왔다.

▲ 시간을 재던 물시계 ‘자격루’

다양한 유물 살펴볼 수 있는 세종대왕박물관

기념사업회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거대한 세종대왕상을 만날 수 있다. 더불어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한 ‘서울 청계천 수표(보물 제838호)’, 문종 2년(1452)에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워진 ‘세종영릉신도비(보물 제1805호)’ 등의 유물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외에도 오목 해시계인 ‘양구일부’, 물시계인 ‘자격루’, 강수량을 재던 ‘측우기’ 등도 실물 모습 그대로 만들어져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

▲ 세종대왕박물관에 전시된 <세종실록>

▲ 세종대왕박물관 실내 전경

▲ 한글의 발전사를 알아볼 수 있는 시기별 타자기

건물 로비로 들어서면 1층에 위치한 세종대왕박물관이 먼저 눈에 띈다. 박물관은 세종대왕의 생애와 업적에 관련된 유물을 보존하고 있으며, ‘일대기실’, ‘한글실’, ‘과학실’, ‘국악실&특별전시실’ 등 네 개의 공간으로 구분돼 있다. 일대기실에서는 <세종대왕 어진>을 비롯해 <훈민정음 반포도>, <왕자 시절의 독서도> 등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한글실에는 《조선어사전》. 《우리말본》. 《독닙신문》 등 다양한 한글 관련 유물들이 보존되어 있다. 대표 자료들은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누리집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도심 속에서 여유를 찾아줄 영휘원과 숭의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우측으로는 바쁘게 돌아가는 도심 속에서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영휘원과 숭의원이 자리하고 있다. 영휘원은 조선시대 고종의 계비(繼妃)인 순헌귀비(純獻貴妃) 엄씨(嚴氏)의 묘소이며, 경내에 함께 있는 숭휘원은 엄귀비의 손자 이진의 묘이다. 지난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1호로 지정됐다.

▲ 영휘원과 숭의원 입구 전경

▲ 도심 속 산책 공간, 영휘원과 숭의원

▲ 따스한 햇살이 비추는 영휘원과 숭의원

고종의 사랑을 듬뿍 받았던 엄귀비는 여성의 문맹탈출에 관심을 갖고 여러 사학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진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였던 영친왕과 이방자 여사의 장남으로 영휘원과 숭의원은 자투리 공간 없이 팍팍한 도심 속에서 누구나 쉽게 찾아와 한가로움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때문에 능이라는 딱딱한 이미지를 벗어나 휴식을 원하는 지역주민들의 힐링 포인트로 사랑받고 있다.

나들이 Tip

약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출발하여 도보로 5분 가량 이동하면 영휘원과 숭의원에 당도합니다.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6 (청량리동)
  • 문의 : 02-969-8851
  • 이용시간 : 09:00 ~ 17:30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추석·설 당일
  • 누리집(홈페이지) : http://sejongkorea.org/main/main.html
▶ 영휘원과 숭의원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204-2
  • 문의 : 02-962-0556
  • 이용시간 : 09:00 ~ 17:30
  • 휴무일 : 매주 월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