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공감
한글 공감
한박웃음 참여 행사
-
참여 행사
기사를 읽고 추석 맞이
밥상을 완성해 주세요! -
소식지의 이름 ‘한박웃음’은
2018년 공모전에서 당선된 이름으로
‘함박웃음’에서 착안한 이름입니다.
‘한박웃음’에서 ‘한박’은 국립한글박물관을
의미합니다.‘한박웃음’의 글씨는 ‘민체民體’로 유명한
여태명 교수님께서 만들어주셨습니다.
-
소식지의 이름 ‘한박웃음’은
2018년 공모전에서 당선된 이름으로
‘함박웃음’에서 착안한 이름입니다.
‘한박웃음’에서 ‘한박’은 국립한글박물관을
의미합니다.‘한박웃음’의 글씨는 ‘민체民體’로 유명한
여태명 교수님께서 만들어주셨습니다.
박물관은 지금
궁금한 글? 궁금 한글!
새롭게 시작하는 온라인 강연
<궁금한글>을 소개합니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온라인 강연 <궁금한글>을
새롭게 기획하고 있습니다. ‘궁금한글’이 무엇인지, 왜, 어떻게 만들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궁금한글’이 뭔가요?
이름에 숨겨진 뜻과 다채로운 강연 방식
▲ ‘궁금한글’ 로고(국문), 햇빛스튜디오(박철희 디자이너) 제작
‘궁금한글’은 한글 관련 각종 궁금증을 풀어주는 온라인 강연으로, 2024년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10주년을 기념해 강연 이름부터 진행 방식까지 새롭게 단장했습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지난 몇 년간 ‘화요 한글문화강좌’라는 이름으로 온라인 강연을 진행해 왔습니다. 이번에는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온라인 강연의 새 이름을 찾기 위해 관내 직원 공모를 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뽑힌 10개의 후보 이름 중 관내 직원의 투표를 거쳐 ‘궁금한글 – 열 가지 이야기’를 최종 선정했습니다. ‘궁금한글 – 열 가지 이야기’는 대중들이 궁금할 만한 흥미롭고 유익한 한글문화 지식을 10편의 영상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최종 선정된 강연 이름인 ‘궁금한글’은 대중들에게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가고자 로고로도 제작했는데요. 왼쪽에 있는 상징 기호(심벌마크)는 ‘궁금한글’의 초성인 ‘ㄱㄱㅎㄱ’을 활용하여 디자인한 것입니다.
올해부터 온라인 강연의 이름을 ‘궁금한글 – 열 가지 이야기’로 새롭게 단장한 만큼, 온라인 강연 운영 방식도 바꾸었습니다. 강연자 한 명이 단독으로 진행하는 방식 외에도 둘 이상의 강연자들이 함께 출연해 토크쇼(대화)나 가상 라이브채팅 형식 등으로도 진행합니다. 온라인 강연의 새 이름에 걸맞게 한글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영상을 제작할 계획이니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현장 강연 진행!
생태동화작가 권오준과 함께한 현장 속으로
▲ ‘궁금한글’ 현장 강연 홍보물
▲ <자연과 동심, 한글로 담다- 생태동화작가에게 듣는 사계절 생태 이야기> 강연 현장
‘궁금한글’은 온라인 강연이지만 이번에 새롭게 단장한 사업인 만큼 특별하게 현장 강연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현장 강연은 권오준 생태동화작가가 <자연과 동심, 한글로 담다- 생태동화작가에게 듣는 사계절 생태 이야기>라는 주제로 총 20여 명의 사전 신청 관람객들과 함께 국립한글박물관 별관에서 8월 27일(화) 오후 2시에 진행했습니다. 이번 현장 강연에 참여한 분들에게는 멸종위기 동물인 혹등고래 모양의 친환경 비누도 선물로 드렸습니다. 강연을 들은 한 참가자는 “기후 위기 시대에 한글로 담아낸 권오준 작가님의 생태 철학이 마음에 큰 울림을 주었고, 한글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새삼 깨달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권오준 생태동화작가
오아나 칼리만(루마니아)
오아나 칼리만(루마니아)
박소민, 박민준 어린이
‘궁금한글’ 강연 주제?
10가지 주제 미리보기
2024년 ‘궁금한글’은 ‘자연을 담은 글’, ‘순우리말 동식물 이름’, ‘사라져가는 목소리들(방언)’을 주제로 한 10편의 강연을 준비했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궁금한글’ 10편의 영상은 10월 9일 한글날부터 매주 수요일에 국립한글박물관 공식 유튜브(https://www.youtube.com/국립한글박물관)에 게시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회차 | 게시일자 | 강연 내용 | 강연자 | |
---|---|---|---|---|
대주제 | 강연제목 | |||
1 | 10.9.(수) | 자연을 담은 글 | 자연과 동심, 한글로 담다 - 생태동화작가에게 듣는 사계절 생태 이야기 ※ 현장 강연 |
권오준 (생태동화작가) |
2 | 10.16.(수) | 교실 밖 자연과 함께하는 우리말 수업 - 초등학교 선생님의 생태환경교육 이야기 |
장건우 (진원초등학교 교사) |
|
3 | 10.23.(수) | 우리 삶을 회복하는 생태적 글쓰기 - 생태책방지기가 들려주는 생태 글쓰기 이야기 |
김탁환 (소설가) |
|
4 | 10.30.(수) | 순우리말 동식물 이름 | 너의 이름은? 너를 기억할게! - 한글로 그려낸 멸종위기종 동물 |
진관우 (숨탄것들 대표) |
5 | 11.6.(수) |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 식물 세밀화가가 들려주는 식물 이야기 |
이소영 (식물학자, 식물세밀화가) |
|
6 | 11.13.(수) | 사진으로 만나는 우리바다 해양 생물들과 이름의 유래 |
박수현 (국제신문 국장) |
|
7 | 11.20.(수) | 사라져가는 목소리들 | 지역말의 생태언어학적 가치 | 이기갑 (목포대 국문과 명예교수) |
8 | 11.27.(수) | 지역의 말을 지키는 사람들 - 제주, 강원도 편 |
양창용 ((사)제주어보전회 이사장), 심명숙 (강릉말(사투리) 보존회 회원) |
|
9 | 12.4.(수) | 지역의 말을 지키는 사람들 - 경상, 전라도 편 |
박용식 (경상대 국문과 교수), 황풍년 (전라도닷컴 편집장) |
|
10 | 12.11.(수) | 지역의 말을 지키는 사람들 - 서울, 충청도 편 |
김수일 (서울토박이 중구지회 사무국장), 이명재 (시인, 충청언어연구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