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박물관은 지금 사진. 국립한글박물관 10주년 기념 백서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 사진이다. 책 표지는 흰색이고 다양한 한글 자모가 그려져 있다. 책등에는 ‘2014-2024 국립한글박물관 전시디자인 백서’가 적혀 있다.
박물관은 지금
국립한글박물관 10주년 기념 백서 발간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
박물관은 지금

국립한글박물관 10주년 기념 백서 발간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

한글의 가치와 함께해 온 10년
그 발자취를 돌아보며

국립한글박물관은 지난 10년간 2022년 상설전시 개편 및 기획특별전시 27회, 순회전시 29회 등 크고 작은 전시를 개최하여 많은 사람들과 한글의 가치를 공유하였습니다. 문자·문화사 관점에서 기획한 전시는 대중성 높은 주제와 한글의 가치를 발견하는 기획으로 관람객들에게 한글박물관의 정체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소장품을 주제로 한 전시는 희귀 소장품을 선보인 전시로 학계의 관심을 받았고 귀중한 한글 자료와 그 이야기를 세상에 알렸습니다.

한글을 디자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전시는 국내외에 한글을 소개하는 주요한 전시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이 모든 전시가 관람객에게 보이기까지의 질문, 작업, 생각 그리고 결과물을 2014-2024 국립한글박물관 전시디자인 백서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에 담아냈습니다.

디지털한글박물관 원문 해제 누리집 사진이다. 왼쪽 페이지에는 큼직한 검은색 브러시로 그린 것 같은 그래픽이 그려져 있다. 오른쪽 페이지는 흰색 여백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상단에 간결한 한글 문장이 배치되어 있다.

디지털한글박물관 원문 해제 누리집 사진이다. 책이 펼쳐져 있고, 펼쳐져 있는 페이지에는 기하학적인 컬러 그래픽이 그려져 있다.

▲ 디지털한글박물관 원문 해제 누리집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은 한글의 문자적 질감을 탐구하는 전시디자인을 엮은 첫 번째 보고서입니다. 10개의 질문으로 시작하는 1부 ‘질문·작업·생각’에서는 전시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기획과 작업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수필 형식으로 모았습니다. 2부 ‘대화’에는 디자이너·작가들과 협력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3부 ‘기록 2014-2024’에서는 상설전시 개편과 기획특별전 56회의 디자인 결과물을 연도별로 정리하였습니다. 책 표지에 있는 14개의 각기 다른 형태의 자음은 한글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변주를 의미합니다. 저마다의 색을 지닌 한글 전시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고민의 과정을 이 책을 통해 엿볼 수 있습니다.

    [ 10개의 질문 ]

  • -디자인적 관점에서 한글은 어떤 문자인가?
  • -한글의 말맛과 글멋을 어떻게 표현할까?
  • -대상의 다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은?
  • -대상의 속성을 어떻게 시각화할까?
  • -그림으로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을까?
  • -시간 여행으로의 초대, 어떤 장치가 필요할까?
  • -글쓰기·이야기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방법은?
  • -부르고 듣는 노래를 보고 읽게 한다면?
  • -문장에 담긴 감정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 -문자 전시의 미디어는 어떤 역할을 할까?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은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 ‘발간자료’ 항목에서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습니다. 이 백서를 통해 전시 자료 구축의 기틀을 마련하고 디자인계·국어학계 및 유관기관 등에 문자를 다루는 방식과 태도를 공유하여 한글과 한글문화를 활성화하는 데 힘이 되기를 바랍니다.

국립한글박물관 10주년 기념 백서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 미리보기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 백서 사진이다. 오른쪽 페이지에 ‘광고 언어의 힘’이라는 텍스트가 굵고 대담한 서체로 적혀 있다. 검은색과 빨간색이 교차 되어 강렬한 인상을 준다.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 백서 사진이다. 검은 배경에 다양한 서체로 작성된 텍스트가 여러 개 쓰여있다.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 백서 사진이다. 왼쪽 페이지는 주로 텍스트로 채워져 있고, 오른쪽 페이지는 픽셀 아트 스타일로 디자인된 큰 텍스트가 배치되어 있다.

‘한글 전시: 10개의 질문’ 백서 사진이다. 색색의 블록 패턴과 그래픽 요소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