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박웃음 참여 행사

  • 전시물을 배경으로 남녀가 셀카를 찍고 있다. 참여 행사 국립한글박물관 관람하고,
    인증사진을 남겨보세요!
  • 한박웃음
    소식지의 이름 ‘한박웃음’은
    2018년 공모전에서 당선된 이름으로
    ‘함박웃음’에서 착안한 이름입니다.
    ‘한박웃음’에서 ‘한박’은 국립한글박물관을
    의미합니다.
    ‘한박웃음’의 글씨는 ‘민체民體’로 유명한
    여태명 교수님께서 만들어주셨습니다.
  • 한박웃음
    소식지의 이름 ‘한박웃음’은
    2018년 공모전에서 당선된 이름으로
    ‘함박웃음’에서 착안한 이름입니다.
    ‘한박웃음’에서 ‘한박’은 국립한글박물관을
    의미합니다.
    ‘한박웃음’의 글씨는 ‘민체民體’로 유명한
    여태명 교수님께서 만들어주셨습니다.
기획기사 사진. 가장 왼쪽 상단에 어린아이가 ㄴ자를 들고 있다. 그 밑으로는 세종대왕이 책을 들고 어린이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그 밑으로는 세종대왕 나신 날이라는 글씨가 쓰여 있고, 그리고 중앙에는 국립한글박물관 로고가 있다. 로고 밑에는 옛날 물결무늬 문양이 있다.

특집 기사 5월에는 국립한글박물관으로!
가족과 함께 즐기는
풍성한 한글문화 행사

국립한글박물관은 가정의 달과 세종대왕 탄신일을 맞아 한글의 가치를 다양하게
탐구할 수 있는 행사를 준비했습니다. 다양한 체험, 생동감 넘치는 공연을 통해
모든 세대가 한글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한글로 하나 되는 특별한 순간 속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행사명 일자 장소
2024년 국립한글박물관 어린이날 기념행사
어린이, 한글과 놀자!
2024. 5. 5.(일) 국립한글박물관
제22회 파주출판도시 ‘어린이 책잔치’
한글 꽃다발, 한글 왕관 체험
2024. 5. 4.(토)-5. 6.(월)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다목적홀
2024년 제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
오늘, 세종대왕과 함께해요!
2024. 5. 15.(수) 국립한글박물관

 
가정의 달을 빛내는 한글문화 행사는?

어린이날 기념행사 <어린이, 한글과 놀자!>

어린이날 기념행사 포스터 사진으로 오른쪽 상단에 우리의 한글 세상의 큰글이란 로고가 있고 4개의 나무가 왼쪽상단에 분홍색 나무 왼쪽 하단엔 청녹색 나무 오른쪽 중앙엔 연두색 나무 오른쪽 하단엔 진녹색 나무가 있음. 아이들은 여아 남아 모두 다섯 명으로 한글 ㄴ, ㅇ, ㅍ, ㄹ 자음 글씨 풍선을 들도 즐거워하고 있다. ▲ <어린이, 한글과 놀자!> 포스터

국립한글박물관은 5월 5일 어린이날을 맞이해 어린이들과 가족 단위 관람객이 한글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문화 체험 행사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야외 잔디마당에서는 서커스 음악극, 비눗방울 공연, 코미디 마술 공연 등 즐거움 가득한 세 가지 공연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한글과 친해지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행사도 마련됩니다. 한글 탐험대장과 함께 국립한글박물관을 탐험하며 세종대왕이 내는 문제를 풀어보는 활동(2회, 회차당 사전 신청 30명), 현장에서 참여할 수 있는 한글 관련 OX 문제 풀이(2회) 등 어린이들이 한글과 친해질 수 있는 체험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한글 달고나 뽑기, 한글 얼굴 그림 그리기, 한글 책갈피 만들기, 분필로 바닥 그림 그리기 등의 활동을 통해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으며, 한글 탁본 체험과 모래 상자 한글 체험(샌드박스) 등을 체험하며 우리나라의 전통과 한글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글 네 컷을 촬영하며 재미있는 사진도 남겨 볼 수 있습니다.

모두의 한글 <‘어린이 책잔치’ 속 한글문화 교육>

국립한글박물관은 5월 4일부터 5월 6일까지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리는 ‘어린이 책잔치’ 속 한글문화 교육 행사에도 참여합니다. 이는 지난 3월에 (재)출판도시문화재단과 체결한 업무 협약의 일환으로, 한글문화와 출판문화의 상호 발전을 위해 개최되는 행사입니다. 한글을 배우는 어린이와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입체 책 만들기 체험을 제공하며, 한글 자음과 모음으로 ‘한글 꽃다발’ 만들기, 숲속 동식물을 주제로 한 의성어와 의태어로 ‘한글 왕관’ 만들기 등의 체험을 진행합니다.

 
세종대왕 나신 날, 함께 즐겨요!

2024년 제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 포스터 사진으로 오른쪽 상단에 우리의 한글 세상의 큰글이란 로고가 있고 중앙에는 행사내용을 담은 족자가 펼쳐져 있고 세종대왕은 붓글씨를 쓰고 아이들은 즐거워한다. 그 밑 왼쪽 상단에 어린아이가 ㄴ자를 들고 있고 오른쪽에는 모음 ㅏ를 아이가 머리 위로 들고 있다. 중앙에는 세종대왕이 책을 펴 어린이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그 밑으로는 세종대왕 나신 날이라는 글씨가 쓰여 있고, 그리고 중앙에는 국립한글박물관 로고가 있다. 로고 밑에는 옛날 물결무늬 문양이 있다. ▲ <오늘, 세종대왕과 함께해요!> 포스터

세종대왕 나신 날을 기념하는 한글 공연

우리가 ‘스승의 날’로 더 많이 알고 있는 5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날인 것을 알고 계신가요? 애민정신으로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을 겨레의 스승으로 여기며, 1965년부터 세종대왕이 탄생하신 날을 스승의 날로 정하고 기념하기 시작했습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매년 5월 15에 다양한 행사를 통해 세종대왕의 탄신을 기념해 왔습니다. 올해도 세종대왕의 627번째 나신 날을 맞아 풍성하고 다채로운 공연을 준비했습니다.

행사는 용산구립소년소녀합창단의 축하 노래로 시작될 예정입니다. 이어 ‘무형유산 도감’ 팀이 주관하는 <조선서커스 솟대쟁이패: 백희百戲>에서는 길놀이, 줄타기, 사자춤, 버나놀음 등 다양한 공연이 펼쳐집니다. 또한, 마술사 지혜준의 <한글 마술공연>도 관람객들을 매료시킬 예정입니다. 사전에 예약한 관람객은 도포와 유건을 착용하고 과거시험장에 입장하여 세종대왕 앞에서 과거시험을 치르는 참여형 역사 체험극 <세종, 인재를 뽑다>에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만나는 세종대왕, 행차 재현부터 기념사진까지!

한편, 국립한글박물관은 관람객들에게 세종대왕과 함께할 수 있는 특별한 체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 중 하나는 <세종대왕 행차 재현>으로, 관람객들이 전통의상을 입고 세종대왕과 함께 걸으며 한글 창제 과정에서의 중요한 일화를 체험하는 것입니다. 이 체험에서는 세종대왕이 한글 창제를 반대하는 최만리를 설득하는 모습을 재현합니다. 관람객들은 이를 통해 백성들에게 한글을 만들어주기 위해 고군분투한 세종대왕의 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2024년 제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 프로그램 소개 사진으로 왼쪽 상단 공연사진 우측 상단 체험사진, 왼쪽 하단 체험사진, 오른쪽 하단 특별사진으로 되어 있다. 왼쪽상단 공연 사진에는 역사인물체험하는 사진 있고, 우측상단 체험사진에는 얼굴에 그림을 그리기, 한글책가피만들기 한글달고나뽑기, 한글 예쁜 손글씨 써주기 사진이 있고 왼쪽하단 체험사진에는 한글탁본체럼, 한글도장찍기체험, 모래상자 한글 체험사진이, 오른쪽하단 특별사진에는 세종대왕 행차 재현사진, 한글 OX문제풀이, 생신상사진찍기, 세종대왕 대형블록 맞추기 사진이 있다. ▲ <오늘, 세종대왕과 함께해요!> 행사 내용

또한 세종대왕, 신하들과 함께하는 <한글 OX 문제 풀이>, 세종대왕의 생신을 축하하며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세종대왕 생신 상 사진 찍기>, 그리고 <한글 네 컷 사진 상자>도 준비되어 있으니, 기념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겨 보세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관람객들에게는 한글 관련 기념품이 제공될 예정이어서 행사 참여의 재미를 더할 것입니다. 이 밖에 세종대왕 대형 블록 맞추기 등 다양한 체험이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이번 연휴에는 국립한글박물관이 마련한 문화행사에 참여해 한글과 놀며 즐겁고 보람된 시간 보내는 것은 어떨까요? 가족과 함께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에 대해 탐구하며 우리 말글의 소중함을 느껴보시길 추천합니다.

04383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대표전화 02-2124-6200, 단체 관람 02-2124-6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