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박웃음 참여 행사

  • 전시물을 배경으로 남녀가 셀카를 찍고 있다. 참여 행사 국립한글박물관 관람하고,
    인증사진을 남겨보세요!
  • 한박웃음
    소식지의 이름 ‘한박웃음’은
    2018년 공모전에서 당선된 이름으로
    ‘함박웃음’에서 착안한 이름입니다.
    ‘한박웃음’에서 ‘한박’은 국립한글박물관을
    의미합니다.
    ‘한박웃음’의 글씨는 ‘민체民體’로 유명한
    여태명 교수님께서 만들어주셨습니다.
  • 한박웃음
    소식지의 이름 ‘한박웃음’은
    2018년 공모전에서 당선된 이름으로
    ‘함박웃음’에서 착안한 이름입니다.
    ‘한박웃음’에서 ‘한박’은 국립한글박물관을
    의미합니다.
    ‘한박웃음’의 글씨는 ‘민체民體’로 유명한
    여태명 교수님께서 만들어주셨습니다.
기획기사 두 번째 사진. 오른쪽 상단에는 한글 산업이란 로고가 있고 중앙에는 ㅎ자가 기하학적인 디자인으로 파란 녹색들과 함께 어울려 있다. 밑에는 2024. 05. 16.-05. 30.이 쓰여 있다.

기획 기사 매력적인 한글 콘텐츠
제작에 도전해 보세요!

한글의 창의적 가능성을 탐구하고 한글문화의 전 세계적 확산을 촉진하는
<제10회 한글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전>의 막이 올랐습니다.
이 공모전은 개최 이래 한글 기반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제품들을
시장에 선보이는 무대를 제공하며, 한글문화 산업 활성화에 기여해 왔습니다.
한글과 한글문화 콘텐츠 제작에 열정을 가진 모두에게
기회의 문을 열어주는 공모전을 소개합니다.

한글의 미래를 모색하는
참신한 한글 관련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한글박물관은 <제10회 한글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전>의 개막 소식을 알렸습니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하는 이 공모전은 지난 10년간 발굴된 수많은 아이디어를 통해 한글의 아름다움과 가능성을 전 세계에 널리 알려왔습니다. 이번 공모전의 접수는 5월 16일부터 5월 31일까지 공모전 누리집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국적과 연령, 성별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신청절차로 1단계 제출양식을 내려받아 작성 후 필요 서류와 함께 압축파일 형태로 생성. 2단계 관련된 내용 누리집 접수란에서 정보기재와 함께 압축파일'2024 한글 콘텐츠 상품화_홍길동'으로 제출. 3단계 1차 결과 개별통보 선정된 인원 발표 자료 접수. 4단계 최종 결과 개별 통보 라고 적혀있다.

공모전의 주제는 ‘국립한글박물관 소장품에서 영감을 얻은 콘텐츠와 아이디어’입니다. 미디어 콘텐츠, 패션과 소품, 공예작품, 문화상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작품을 공모하며, 심사는 창의성, 상징성, 적합성, 심미성, 대중성을 기준으로 전문가 심사와 검증을 통해 진행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총 15건을 선정하여 대상 수상자에게는 문체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 원을, 금상 2건과 은상 3건 수상자에게는 국립한글박물관장상 및 한국교육문화재단 이사장상과 함께 소정의 상금을 수여합니다. 또한, 수상자들에게는 한글문화산업전시 참가 기회와 함께 2025년도 상품화 지원 사업 및 교육 참여 기회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이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아이디어는 누리집에 공개됩니다.

2023년 한글콘텐츠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으로 왼쪽 상단 사진속에는 차곡이란 한글 놀이형 교구제품이 있는데 흰박스안에 분홍,노랑,파랑,연두,주황,하늘색의 소박스가 들어있고 이 소박스 안에 한글자 모음에 들어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사진은 우리두리하는 한글놀이형 교구제품으로 기차레인 모양을 한글 자모음으로 만들었고 팽이가 있으며 중앙에는 백인 남자아이, 흑인 여자아이가 마주보고 있다. 우측에는 우리라는 글씨의 퍼즐이 있다.

왼쪽하단 사진은 노란색 ㅅ, 파란색 ㄴ, 녹색 ㅂ, 빨간색 ㄹ 제품이 있는데 수납용품으로 볼펜들이 들어 있다.

오른쪽 하단 사진은 한글상자라는 한글장남감으로 나무로 만든 제품으로 네모나무상자안에 네개의 막대가 있고 이 막대에는 ㅊ자 모양의 발이 각각 2개씩이 있고 안에는 흰구슬이 있다. 중앙엔 위아래로 원형모양이 3개씩 있다. 오른쪽 나무상자에는 ㅎ모양의 구멍이 가로로 3개 씩 세로로 4개의 줄로 총 12개의 ㅎ모양의 구멍이 있고 흰구슬이 있다.

▲ 2023 한글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소장품 관련 자료는 디지털한글박물관(https://archives.hange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공모전 누리집(https://hangeulmade.org)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립한글박물관의 소장품을 바탕으로 참신하고 매력적인 한글 콘텐츠가 발굴되고 축적되어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대표 한글 콘텐츠와 상품이 개발되기를 기대합니다.

디지털한글박물관 바로가기

공모전 누리집 바로가기

한글 콘텐츠에 대한 혁신과 창조의 발돋움 판
<2024년 한글 콘텐츠 상품화 지원>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과 한글문화 확산 및 한글의 산업화 촉진을 위해 <2024년 한글 콘텐츠 상품화 지원> 사업도 진행 중입니다. 한글을 소재로 한 독창적인 콘텐츠와 상품의 개발을 목표로, 제작 역량을 갖춘 창작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은 한글 소재의 이야기를 비롯하여 놀이 교구, 애플리케이션, VR 및 AI 기술, 생활소비재, 공예품,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한글 활용 아이디어입니다.

지난 4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 총 77개의 기업에서 접수하였는데, 작년 29개 사에 비해 많이 증가하였습니다. 최종 선발되는 10개의 기업에는 최대 4000만 원의 개발 비용이 지원될 예정입니다. 특히 개발 상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전문가 자문, 교육, 시제품 제작, 지식 재산권 취득, 국내외 박람회 및 전시 참여, 수출 및 마케팅 전략 교육 등 폭넓은 후속 지원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오는 5월 27일 최종 선정될 상품화 대상 콘텐츠에 대한 기대감이 벌써 고조되고 있습니다.

2023년 한글콘테츠상품화 개발 지원사업 수상작으로 왼쪽상단 사진은 턱,통,꼭이란 제품으로 상단의 초록색은 미끄러지지 않는 방지 턱, 중앙의 빨간색 통은 물건을 담는 그릇 통으로 연필, 자, 칼 등이 담겨 있다.

흐르는 한글의 시간이라는 시계로 네모 라운드 모양에 한글 자음이 보라색, 파란색, 노란색 등으로 그려져 있고 모음 ㅜ는 시계 분침을 나타낸다.

왼쪽 하단 초송 도미노 사진은 한글 보드 게임기로 네모 박스 안에 한글 자모음이 퍼즐이 들어가 있다.

오른쪽 하단 제품은 영원한 기록이란 작품으로 찻잔, 접시 모양의 접시 받침대로 한글 ㅎ, ㅁ, ㄴ 이 새겨져 있다.

▲ 2023 한글 콘텐츠상품화 개발 지원사업 수상작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의 무한한 가능성이 세계 무대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의 장을 열고 있습니다. 창의력과 도전 정신을 바탕으로 한글과 한글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이들의 도전을 기대합니다.

04383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대표전화 02-2124-6200, 단체 관람 02-2124-6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