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박웃음 참여 행사

  • 한박웃음
    소식지의 이름 ‘한박웃음’은
    2018년 공모전에서 당선된 이름으로
    ‘함박웃음’에서 착안한 이름입니다.
    ‘한박웃음’에서 ‘한박’은 국립한글박물관을
    의미합니다.
    ‘한박웃음’의 글씨는 ‘민체民體’로 유명한
    여태명 교수님께서 만들어주셨습니다.
한글 이모저모 사진. 푸른색 하늘을 배경으로 흰 구름이 떠 있다. 사진 가운데 지구가 있다. 사진 하단에는 여러 책이 높게 쌓여 올려져 있다.

한글 이모저모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글!
옥스퍼드 사전 속 우리말 단어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 속 우리말 단어 어떤 게 있을까요?
2021년 26개의 우리말 단어가 한 번에 등재되기도 했는데요.
이는 한국 드라마와 노래 등이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면서
한국 문화가 영어권 사람들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결과였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세계로 향하는 한글의 현주소를 알리는
옥스퍼드 사전에 실린 단어를 소개해 드립니다.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는 한글날을 기념하며, 세계에서 높은 위상을 보여주는
한글을 소중히 여기시길 바랍니다.

푸른 잔디와 강이 흐르고 있고, 그 뒤로는 건물과 타워가 있다. 사진 가운데에는 인터넷 창이 하나 띄어져 있고, 그 안에는 치킨과 맥주, 김치, 불고기, 비빔밥, 파전이 테이블 위에 올려져 있다. 사진의 하단 왼쪽에는 머리를 하나로 묶은 여성이 엄지척하고 있다. 그 옆에 파란색 모자를 쓴 남성과 초록색 옷을 입은 여성은 만세를 하고 있다. 맨 오른쪽에는 노란색 머리띠를 한 남성이 양손을 펼쳐 인터넷 창을 가리키고 있다.

맨 하단에는 한국 전통 부채, 꽃신, 갓 등 우리나라 전통 물건이 테이블 위에 놓여 있다. 중앙에는 두 명의 외국인 여성과 세 명의 한국인 여성이 있다. 맨 왼쪽에 있는 초록색 상의를 입은 외국인 여성은 복주머니를 들며 웃고 있고, 그 옆에 줄무늬 티셔츠를 입은 외국인 여성은 머리에 족두리를 하고 있으며 댕기를 들고 있다. 그의 오른쪽에 머리를 하나로 묶은 여성은 꽃신을 들고 있다. 그 앞에 있는 여성 두 명은 각각 한복을 들고 있으며 환하게 웃고 있다. 이들의 뒤로는 한복을 입은 외국인 두 명이 서 있고, 옷걸이에 한복이 걸려있다.

하늘색 배경이다. 사진 왼쪽에는 머리를 하나로 묶고 분홍색 옷을 입은 여성이 윙크하며
손으로 하트를 그리고 있다. 가운데 남성은 파란색 옷을 입고 있으며 머리 위로 하트를 만들고 있다. 오른쪽 여성은 초록색 옷을 입고 있으며 윙크하면서 엄지와 검지를 교차해 손가락으로 하트를 만들고 있다.

배경은 민트색이다. 중앙에 환하게 웃고 있는 네 명의 여성이 있다. 맨 왼쪽 여성은 흰색 옷을 입고 있고, 분홍색 배경에 노란색 하트가 그려진 종이를 한 손으로 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브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그 옆에 여성은 흑인이며 분홍색 옷을 입고 있다. 그녀의 오른쪽에 있는 여성과 함께 ‘오빠’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맨 오른쪽 여성은 초록색 민소매를 입고 있으며 ‘언니’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높이 들고 있다.

다양한 사람들이 응원하는 활기찬 모습을 담고 있다. 사진의 왼쪽에는 파란색 상의를 입은 사람 네 명이 모여있다. 뒷줄 왼쪽에 있는 사람은 파란색 치어리딩 팜을 들고 응원 중이다. 그의 오른쪽에 있는 사람은 파란색 모자를 쓰고 있고 만세를 하며 힘차게 응원하고 있다. 앞줄 왼쪽에 있는 사람은 파란색 깃발을 흔들며 큰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그 옆에 있는 사람은 주먹을 들어 올리며 열정적으로 응원 중이다. 사진의 오른쪽에는 흰색 상의를 입은 사람 네 명이 모여있으며 파란색 옷을 입은 사람들과 똑같은 배치로 같은 응원 도구를 들고 응원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옥스퍼드 사전에 실린 우리말을 살펴보았습니다.
한류의 영향으로 세계 곳곳으로 뻗어나가는 한글의 위상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창제하신 깊은 뜻을 다시 한번 마음 깊이 새겨보시길 바랍니다.
특히, 다가오는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한글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되새기고
그 가치를 함께 나누는 시간이 되시길 기대합니다.

*본 기사는 취재하여 작성된 내용으로,
국립한글박물관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04383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대표전화 02-2124-6200, 단체 관람 02-2124-6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