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박웃음 2020.6. 제 82호

지난호보기 메뉴열기

반갑습니다 “한글이 갖고 있는 뛰어난 조형미와
신비한 매력에 반하다”
한글과 예술을 잇는 세계적인 작가 강익중

이번 호 ‘반갑습니다’의 주인공은
뉴욕을 기반으로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동시에 한글 벽화 작품으로 익히 알려진 인물이다.
우리말과 글의 아름다움을 알리며 ‘한글과 어린이의 그림을 모아 다리를 만들고 공공장소에 큰 설치물을 세우는 일은,
세계라는 캔버스 위에 희망이라는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는 일’이라고 말하는
강익중 작가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복사
Q. 안녕하세요, 강익중 작가님. <한박웃음> 독자 여러분께 인사와 소개 부탁드립니다.

반갑습니다. 저는 한글과 달 항아리, 3인치의 작은 그림을 그려서 화가이고, 어린이들의 그림을 모아 세계 여러 곳에 설치하는 일을 해서 설치미술가인 강익중입니다. 얼마 전 우리말로 된 두 번째 시집을 출간해서, 저를 시인으로 알고 있는 분들도 있습니다. 1984년부터 지금까지 뉴욕에 살면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저의 꿈은 어릴 적부터 화가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초등학교 3학년 때로 기억합니다. 할머니의 작은 증명사진을 좀 더 큰 종이에 연필로 옮겨 그렸는데요. 이를 보신 삼촌께서 크게 놀라셨습니다. 바로 그날, 저는 화가가 되기로 결심을 했습니다. 그림이 좋아서 자다가도 일어나 그리느라 많은 밤을 새우기도 했습니다. 제 경험으로 비추어 볼 때 어릴 때 칭찬은 평생 간다는 말을 믿습니다.

“끊어진 남북을 그림으로 이어보자”라는 생각으로 1999년부터 전 세계 어린이들의 그림을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임진강에 한글과 어린이 그림으로 된 남북을 잇는 커다란 원형 모양의 ‘꿈의 다리’를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지금까지 149개국에서 80만 점 이상의 어린이 그림을 모았는데, 영구 보존을 위해 이 중 60만 정도를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했습니다.

Q. 작가님이 대중에 선보이는 예술 세계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작품에서 한글을 다루게 된 계기도 궁금합니다.
이제부터땡
큐는탱큐로
프랑스는프
랑스로빅토
리는빅토리 달이인류최
초의텔리삐
전이라면별
은인류최초
의시네마다

2001년 당시 세 살이었던 아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기로 했습니다. 아이가 모음과 자음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색의 크레용으로 모음과 자음을 그렸는데요. 너무 쉽게 한글을 읽어 내려갔습니다. 그 후 똑같은 방법으로 외국 친구들에게 음과 양의 원리인 한글의 모음과 자음에 대해 설명했는데, 얼마 되지 않아 한글을 따라 읽는 것은 물론이고 한글을 무척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제 뉴욕 작업실에서는 여러 색과 모양으로 된 한글 작품이 그려지기 시작했습니다.

한글과 달 항아리 작업은 일종의 ‘잇기’ 작업입니다. ‘화합과 상생’이라는 물고기를 낚으려고 끊어진 어망을 꿰매는 일과 비슷합니다. 달 항아리는 위아래 따로 빚어졌다가, 뜨거운 불가마를 통과한 후 하나가 됩니다. 한글은 모음 자음이 서로 어우러진 후 숨을 불어 넣으면 하나의 소리를 냅니다. 한글과 달 항아리는 합쳐야 비로소 완성되고 모여야 서로 살아납니다.

<꿈의 다리> 제안 이미지. 위쪽의 North Korea와 아래쪽의 South Korea를 이어줄 원형 다리의 모습.▲ <꿈의 다리> 제안 이미지

순천만 국가정원에 세워진 <꿈의 다리>. 순천만 정원 위로 거대한 다리가 놓여져 있다.▲ 순천만 국가정원에 세워진 <꿈의 다리>(2013)

또한 한글과 어린이의 그림을 모아 다리를 만들고 공공장소에 큰 설치물을 세우는 일은, 세계라는 캔버스 위에 희망이라는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의 설치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 수많은 참여자와 자원봉사자들이 필요합니다. 적을 때는 몇천 명부터 많을 때는 십만이 넘는 인원이 참여하게 됩니다. 함께 작업을 하며 우리 모두는 바람으로 섞이고 땅으로 이어진, 한글의 모음과 자음같이 뗄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Q. 2010년 상하이 엑스포 전시장 한국관에 <내가 아는 것>이라는 ‘한글을 사용한 작품’을 출품하셨습니다.
한글 관련 작품을 만드시며 어떤 느낌을 받으셨는지, 관람객의 반응은 어떠했는지 궁금합니다.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외부 전경. 계단식으로 세워진 건물 외벽에 한글 문양이 가득차있다.
▲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외부 전경

2010년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의 외벽을 오방색으로 그려진 한글로 설치를 했습니다. 작품의 주제는 ‘한글의 조형미’였습니다. 한국관 외벽과 내벽에 한글로 그린 가로•세로 45cm 작품 4만 2,000개를 붙이기로 한 계획을 발표하자 주변으로부터 우려의 소리가 들렸습니다. 장소가 중국이라 중국인들에게 생소한 한글 대신 한문으로 설치해야 된다는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한글의 아름다움과 조형미를 우리 스스로 평가 절하한 탓입니다.

엑스포가 시작되자마자 우리 한국관이 단연 인기를 끌었습니다. 한국관에 입장하기 위해 관람객들은 4~5시간씩 줄을 서서 기다려야만 했습니다. 여러 국가관들 중 한국관이 중국관 다음으로 관람객들이 가장 많이 사진을 찍은 국가관으로 알려졌고, 엑스포 마지막 날 주최 측으로부터 영국관에 이어 디자인 은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내가 아는 것>은 일상에서 얻은 지혜를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하고 오방색의 한글을 한자씩 나무판위에 그려내는 작업입니다. 지금까지 4천여 문장의 ‘내가 아는 것’을 완성했습니다. 3년 전에 있었던 아르코미술관 전시에서는, 제가 직접 시민들에게 ‘내가 아는 것’을 물었습니다. 인생의 한 문장이 모여서 ‘집단지성’인 ‘우리가 아는 것’이 된다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3천여 명의 참가자 모두 3인치의 화면을 채워 둥그렇게 이어진 모양의 전시장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우리가 아는 것’으로 진화한 셈입니다.

Q. 본업 외에도 외국에 나가 한글을 가르치신다고 들었습니다.
작품 <아리랑>. 색색으로 칠해진 배경 위로 색색의 글자가 적혀 있다. “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아리랑고개로넘어간다나를버리고가시는님은십리도못가서발병난다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아리랑고개로넘어간다청천하늘엔별도많고우리네가슴엔꿈도많다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아리랑고개로넘어간다저기저산이백둣간이라지동지섣달에도꽃만핀다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아리랑고개로넘어간다강익중2020”
▲ 강익중 작가의 작품 <아리랑>(2020)

이제 한글은 세계인들에게 사랑받는 문자가 됐습니다. 2017년, 전시 때문에 불가리아를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놀랍게도 수도 소피아에는 한글 도서관이 있었습니다. 소피아 시립 도서관 안에 위치하고 있는데, 외국어 도서관으로는 영어 도서관에 이어 두 번째라고 합니다. 한글의 아름다움에 반한 많은 불가리아인들이 하루 일과를 마치고, 한글 도서관에 모여 우리글로 된 책을 읽고 우리말로 대화를 합니다. 고맙고 반가운 마음에 뉴욕에 돌아와서 예쁜 오방색으로 ‘한글 도서관’이라고 쓴 나무 현판을 만들어 보냈더니, 불가리아인들이 같은 오방색으로 ‘강익중 선생님, 고맙습니다’라는 카드를 그려서 보내주었습니다.

제가 나무판에 그린 첫 한글 작품을 구입하신 분이 네덜란드인입니다. 대부분의 소장가들도 한글을 모르는 외국인들입니다. 작품에 담긴 뜻은 모르지만, 한글이 갖고 있는 뛰어난 조형미와 신비한 매력에 반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Q. 작가님에게 ‘예술’이란, 또 ‘한글’이란 어떤 의미인가요?

한글은 ‘호흡’이고 ‘생명’입니다. 한글 속에는 언 땅을 뚫고 나오는 봄의 새싹과, 부는 바람 속에 살아 숨 쉬는 생명성이 숨겨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화란 결국 ‘철학’이라는 나침반으로 ‘나’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과 같습니다. 지금 내가 서 있는 위치를 모르면 지도가 소용없는 것처럼, 우리 문화를 모르면 움직일 수도 없고 소통을 할 수도 없습니다.

문화와 과학, 경제와 정치는 이어져 있습니다. 낚시에 비유하면 예술가는 낚싯대를 던지는 역할을, 과학자는 잡은 고기를 끌어올리는 일을 합니다. 경제인은 도마 위의 고기를 자르고, 정치인은 나누어주는 분배의 역할을 합니다. 낚싯대를 던지는 예술가가 없으면 고기를 자를 수도 나눌 수도 없습니다. 이 순환은 경계선(Dividing Line)을 연결선(Connecting Line)으로 바꾸게 되고, 바로 이것이 예술가에게 던져진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Q. 마지막으로 향후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
강익중 작가가 고안한 한글 표기법 표.
▲ 강익중 작가가 고안한 한글 표기법

얼마 전 뉴욕에서 한국어를 열심히 배우고 있는 아르헨티나 사람을 만났습니다. 그는 한글로는 표현 못 하는 발음이 거의 없다며 극찬했습니다. 다만 p와 f, l과 r, b와 v 등이 구분되지 않고 같은 자음(ㅍ, ㄹ, ㅂ)으로 표기되는 것에 대해 아쉬워했습니다. 2017년부터 제 한글 작품에선 r, v, z, th, f의 다섯 개 영어 자음은 한글의 ㄹ, ㅂ, ㅈ, ㅌ, ㅍ에 일획을 추가해서 l, b, j, t, p 발음과 구분되도록 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인쇄물에 개정된 한글이 기록된 셈이죠. 한글의 기본 자음 19개를 24개로 확장했습니다.

한글의 장점인 유연성 확장성 호환성은 인공지능(Al) 시대를 맞아 더욱 강화되고 변화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계 곳곳에서 한글을 공부하고 사랑하는 외국인을 만나면서, 또 20여 년간 한글 작업을 하면서 얻은 고민의 결과물입니다. 한글이 전 세계에 문자 없는 나라로 가서 말만 있고 글은 없는 사람들을 도와줄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한글은 문자 이전에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음양의 진리를 품고 있는 위대한 철학입니다. 남녀가 결혼해서 아이를 낳듯이, 한글의 모음과 자음이 만나서 하나의 울림이 나옵니다. 한글의 조화로운 울림엔 남북통일과 세계 평화의 비밀 열쇠가 숨겨져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