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은 조선 후기 한양 도성의 풍경이 담긴
한글 노래 『한양가』를 중심 주제로 한 기획특별전 <서울 구경 가자스라, 한양가>를
2023년 9월 27일부터 2024년 2월 12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하고 있다.
당시 한양의 활기찬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한 이번 전시에서는
마치 시간 여행을 떠나 그 현장을 돌아보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한박웃음과 함께 전시 현장을 돌아보며 과거의 서울은 어떤 모습이었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한글은 어떤 역할을 했는지 확인해 보자.
1부 아름다운 수도 한양을 노래하다
한산거사가 지은 『한양가』(1844년)는 한양만을 본격적으로 소개한 최초의 한글 장편 문학으로, 조선 후기 한양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으며 국어사 및 문학사, 미술사, 복식사 등 여러 분야에서 가치가 높은 한글문화유산이다. 특히 중인으로 추정되는 작가가 사대부들과 다른 시각으로 한양의 풍속과 백성의 삶을 묘사해 한양을 이해하는 데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했다. <서울 구경 가자스라, 한양가>는 『한양가』의 가치를 우리말글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최초의 전시이자, 작품에 묘사된 문장과 단어를 전시물로 구현하여 우리말글의 재미와 당시의 삶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전시장의 입구로, 아치형 문과 미디어 연출 영상을 통해 현재 서울의 청계천 다리에서 과거 한양의 광통교로 이동하며 시간 여행을 떠나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먼저 1부 ‘아름다운 수도 한양을 노래하다’에서는 고려가요에서부터 조선 초기의 경기체가, 조선 후기의 한글 시가와 가사, 한시와 한문 산문, 그리고 한산거사의 『한양가』에 이르기까지 수도 서울을 노래하고 기록한 한글과 한문 작품들은 무엇이 있는지 소개한다. ‘임금님이 계신 곳이면서 조선 팔도와 타국의 물화가 모이는 동경의 공간이자 삶의 터전’인 한양을 어떤 방식으로 기록했는지 관련 유물들과 함께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시장에서는 한양의 역사와 풍물을 다룬 여러 문집들이 출품되었다. 특히 한양의 역사와 세시풍속을 기록한 『한경지략』(유본예 저) 등은 한양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조선 후기에는 한양 외에도 여러 지역의 삶과 풍경을 담은 한글 가사들이 많이 지어졌는데, 금강산의 아름다운 풍광을 그린 『금강별곡』(이상수 저), 조선 팔도의 지명과 풍물을 읊은 『팔도읍지가』 등도 소개하고 있다. 이 밖에도 1부가 끝나는 쪽에 한양 여행을 떠나는 조선 선비의 연출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관람객들이 설레는 마음을 안고 『한양가』 속 조선 후기의 한양으로 함께 여행을 떠나기를 유도하였다.
2부 활기차다 한양 거리, 번화하고 신기하다
<2부 활기차다 한양 거리, 번화하고 신기하다>에서는 『한양가』에서 소개한 조선 후기 한양의 모습을, 왕의 공간 궁궐에서부터 관아가 있는 육조거리, 왁자지껄 시장, 별감의 승전놀음, 왕의 능행길, 궁에서 열린 과거 시험장 풍경 등으로 나누어 관련 유물 및 인터랙티브 영상 등을 통해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동궐도〉 터치 영상을 통해 임금님이 사시는 궁궐 곳곳을 『한양가』에서는 어떻게 묘사했는지 살펴보고, 『한양가』 속 인물들이 관람객에게 말을 건네는 것처럼 영상을 연출하였다. 『한양가』에서 묘사한 인물인 별감, 무관, 나인 등이 궁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떤 옷을 입고 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궁궐 안팎에서 일하는 조선 관리들의 출근길 풍경을 『한양가』의 우리말 문장과 어휘, 관련 회화 이미지를 통해 보여주었다. 『한양가』는 글쓴이가 마치 직접 궁에서 가 본 것처럼 궁궐 내부와 그곳의 인물들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한양가』의 저자인 한산거사가 궁에서 일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라고 추측하기도 했다.
여기에 조선 팔도와 타국의 여러 물건을 벌여놓고 파는 한양의 상점 거리 ‘육의전’ 등을 관련 연출 영상과 그곳에서 파는 물건들의 우리말 어휘 이미지를 통해 구현하여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육의전에는 최고 품질의 중국산 비단을 취급한 선전, 무명을 취급하는 백목전, 최고의 종이를 파는 지전, 건어물을 파는 어물전, 광통교 아래 그림을 파는 가게 등이 실감 나게 펼쳐져 있다. 또한 한양 시장에서 파는 물건들이 당시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었는지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이춘풍전』 등 동시대의 한글 문학 텍스트를 함께 제시했다.
여기에 승전놀음과 임금의 능행길, 과거 시험 수험서들도 볼 수 있다. 승전놀음이란 왕을 모시는 별감들이 벌이는 공연으로 오직 『한양가』에서만 그 구체적인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조선 후기 상업도시로 변모한 한양에서 중인층이 크게 세력을 키우며 이전에는 양반들이 즐기던 문화가 중인층 이하로까지 확산된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전시에서는 전시장 한편을 무대처럼 꾸며 이름난 악사들과 기생들이 펼치는 공연을 영상으로 재현했다.
또한 왕이 궐 밖에 행차하는 능행길을 구경하는 백성들의 입장에서 전달했고, 대취타 연주에 사용된 악기 등도 전시하고 있다. 왕의 능행 행렬이 배다리를 만들어 한강을 건너는 모습, 계라차지 선전관의 지휘 아래 대취타를 연주하며 지나는 장엄하고 화려한 장면들을 『한양가』 속 우리말 문장과 어휘, 관련 3D 연출 영상 등을 통해 볼 수 있다.
궁에서 열린 『한양가』 속 조선 후기의 과거 시험장 풍경도 소개했다. 조선의 과거 시험은 입신양명의 관문이었는데, 조선 후기로 갈수록 경쟁이 과열되어 각종 부정행위가 난무했다. 한산거사는 이 모습을 부정적으로 비판하기보다 흥미로운 구경거리로 보았다. 관람객들은 선접꾼을 대동해 시험에 유리한 자리를 선점하고, 거벽(巨擘)을 통해 답안을 작성하고, 사수(寫手)에게 글씨를 쓰도록 한 당시의 과거장 풍경을 관련 유물과 기록, 무빙툰 ‘조선 후기 선비 김한글의 과거 보던 날’을 통해 흥미롭게 접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전시장에서는 음향기기를 이용해 당시 승전놀음에서 기생들이 불렀던 노래를 들어볼 수 있다. 또한 관람객이 각자의 성향을 선택하면 조선 시대의 직업을 추천해 주는 체험 활동도 할 수 있다.
3부 변화하는 수도 서울, 힘차게 나아가다
<3부 변화하는 수도 서울, 힘차게 나아가다>에서는 『한양가』 이후의 서울 관련 문학 작품을 비롯해 사진 및 지도, 서양 서적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근대 도시로 변모하고 끊임없이 도약하는 수도 서울의 모습을 소개하고 있다. 문호를 개방하고 더 넓어진 세상에서 바라본 서울은 서울 사람뿐 아니라 이전보다 더 많은 지방 사람과 외국인들도 오가는 풍경으로 바뀌어 있었다. 기차와 전차 등 교통의 발달로 더 가까워진 서울을 누구나 쉽게 여행할 수 있도록 각종 여행안내 책자나 한양의 명소를 소개한 사진엽서들도 나왔다. 근대화되어 가는 서울의 풍경을 서양인의 관점에서 소개한 책도 다수 전시되었는데, 그중에는 서울 탐방 특집기사가 실린 프랑스 여행 잡지를 비롯해, 외국인들의 조선 여행을 위한 조선어 학습 교재도 포함되어 있다.
전시장에서는 사공수라는 이가 쓴 또 다른 한양 노래 『한양가』도 만나볼 수 있다. 사공수의 『한양가』는 조선 왕조 오백 년의 흥망성쇠를 노래하는 동시에 울분과 반성, 새 희망의 의지가 담긴 작품으로 다시 쓰여 『한양오백년가』라고도 불리며 딱지본으로도 간행되었다. 사공수 외에도 당시 많은 문인들은 시대의 아픔을 글로 쓰며 다시 올 희망의 날을 꿈꿨다.
또한 지방에 거주하던 여성이 1910년대와 1930년대에 기차와 전차를 타고 서울을 여행하고 난 뒤에 쓴 한글 여행기와 한글 가사 등도 관람할 수 있다.
전시장 마지막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 등 어렵고 힘든 시기를 지나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며 국제도시로 우뚝 성장한, 이제는 누구나 한번쯤 와 보고 싶어 하는 문화강국인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미디어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서울 구경 가자스라, 한양가>를 통해 한글로 쓴 『한양가』의 가치를 재조명하며,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의 의미를 새롭게 되돌아보고자 했다. 이 전시를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가 가진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다시금 인식하고, 한글문화 콘텐츠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재미와 즐거움을 좀 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함께 누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